2023. 5. 17. 16:20, 알고리즘/BOJ
sort에 대해서 종류별로 공부하고 있는데,
이때
머지소트, 퀵소트, 카운팅 소트, 라딕스 소트 순으로 배우고 있고, 이때 라딕스 소트를 접했을때 라딕스, radix라는 단어가 매우 낯설어서 어떤 의미를 가진 단어인지 검색해보았다.


그리고 이 radix sort는 한국어로는 기수정렬 이라고 하는데 radix가 기수이기 때문에 기수정렬이라고 하는구나
이때 기수는 수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십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의 정수를 이른다. 라고 한다
이름을 잘 이해하고 공부하면 이 정렬 자체에 대해서 이해하고 암기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것이다.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sort 함수에 전달해주는 compare 함수에 관하여 2 (0) | 2023.05.18 |
---|---|
c++ sort compare 함수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0) | 2023.05.17 |
sort(), stable_sort()에서, 첫번째, 두번째 인자까지 고려해준다는걸 잊지말고 사용하자. (0) | 2023.05.16 |
const와 &의 사용에 관하여. (0) | 2023.05.16 |
boj 10814번 문제를 풀며 만나게된, VLA를 사용한 코드와, 이 코드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0) | 2023.05.16 |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