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7. 02:59, 알고리즘/BOJ
이분탐색과 이진탐색은 같은 것이고, binary search라고 한다. 이진검색 트리는 binary search tree이고, binary search를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놓은 트리구조 이다. 이진 검색 트리는 자료구조이다. 이분탐색 혹은 이진탐색(binary search), 그리고 이진검색 트리 (binary search tree)에 대해서 헷갈리고 차이점이 궁금해서 검색해보았다.
결국 이진검색, 혹은 이분탐색( binary search)를 먼저 배우게 되는 이유도, 이러한 단일한 형태의 탐색 방법에 대해서 익히고,
이 탐색 방법을 활용하여서 자료들을 정리해놓은 자료구조인 binary search tree, 이진검색 트리를 익히는 순서로 진행될것이기 때문이다.
이진탐색, 이분탐색, 그리고 이진검색(여기서 검색이 search) 트리 에 대해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보면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복 원소 제거를 위한 sort(), unique(), earse() 함수의 활용. (0) | 2023.06.07 |
---|---|
c++ binary_search , lower_idx, upper_idx 코드 구현 모음과 차이점 비교. (0) | 2023.06.07 |
boj 1292번 문제의 코드를 통해 접하게된 ,을 통한 한줄 표현 방법에 대하여. (0) | 2023.06.07 |
boj 1011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sqrt() 함수에 대하여. (0) | 2023.06.06 |
boj 5347번 문제 LCM을 통해 배우게 되는 계산 중간 과정에서의 int overflow의 가능성. 그리고 해결법 세가지. (0) | 2023.06.05 |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