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joycecoder.tistory.com/108
[Docker] 우분투 이미지 한글 입력 안될 때
단순 링크 기록용으로 남긴다. Docker 사용 시 우분투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한글 지원이 되지 않아 커맨드라인에서 한글 입력이 안된다. 그 때 아래 블로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joycecoder.tistory.com
위 블로그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서 해결하였고 한글 입력이 가능해졌다.
혹시모를 블로그 글 삭제를 대비해서 명령들만 따로 정리해놓는다.
export LANGUAGE=ko
apt-get install locales
localedef -f UTF-8 -i ko_KR ko_KR.UTF-8
locale-gen 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LC_ALL=ko_KR.UTF-8 bash
저 블로그에서 참고한 또 다른 블로그의 주소도 첨부해 놓는다.
https://www.44bits.io/ko/post/setup_linux_locale_on_ubuntu_and_debian_container
도커(Docker) 컨테이너 로케일 설정: 데비안(Debian), 우분투(Ubuntu) 이미지에서 한글 입력 문제
도커 우분투, 데비안 이미지에서는 기본적으로 한글 입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로케일 설정을 UTF-8로 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케일 개념과 함께 도커
www.44bits.io
++++++++++++++++++++++++++++++++++++++
현재 도커 우분투 환경에서 make check를 하는데 지속적으로 테스트 케이스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게 로케일 값을 변경한것이 영향을 미치는것은 아닌가 싶어서 검색해보았다.
root@38f23c7bbe2a:/solo-pintos/threads/build# make check
perl -I../.. ../../tests/threads/alarm-priority.ck tests/threads/alarm-priority tests/threads/alarm-priority.result
perl: warning: Setting locale failed.
perl: warning: Please check that your locale settings:
LANGUAGE = (unset),
LC_ALL = (unset),
LANG = "en_US.UTF-8"
are supported and installed on your system.
perl: warning: Falling back to the standard locale ("C").
FAIL tests/threads/alarm-priority
Run produced no output at all
pintos -v -k -T 60 -m 20 -- -q run alarm-zero < /dev/null 2> tests/threads/alarm-zero.errors > tests/threads/alarm-zero.output
../../tests/Make.tests:75: recipe for target 'tests/threads/alarm-zero.output' failed
make: *** [tests/threads/alarm-zero.output] Error 127
일단 이러한 에러 메시지를 받고 있는 상황이고,
이게 위에서 setting locale failed와 관련이 있는것은 아닌가 싶어서 이 설정을 초기화 해보려고 한다.
로케일 사용하는 이유, 사용시 주의사항, 그리고 계속 초기화 되는 문제 해결 방안
https://www.lesstif.com/lpt/locale-87949397.html
locale(로케일, 로캘) 이란?
www.lesstif.com
+++++++++++++++++++++++
다시 세팅을 en_US.UTF-8로 바꾸어도 make check가 실패했다.
locale 설정 때문은 아닌것 같다.
로케일 설정에 대한 warning은 사라졌다.
++++++++++++++++++++++++++++++++
로케일 설정을 한국으로 바꾸고 나서 make clean을 한뒤에 make check를 했을때 제대로 안되고 실패하는걸 확인하였다.
기존에 분명 제대로 make check 되는 프로젝트였는데 다시 한글을 사용해보기 위해서 로케일 설정을 바꿨는데, 그렇게 하고나니까 빌드가 제대로 되지 않는것을 확인하였다.
일단 로케일 설정을 핀토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바꾸지 말도록 하자.
테스트 파일들의 값에 영향을 미쳐서 빌드시에 영향을 미치는건가 싶은 생각을 하고있다.
일단은 핀토스 프로젝트 완성에 초점을 더 맞추어야 하니까 이건 잠시 접어두고,
혹시 이걸 찾아와서 읽은 사람이 있다면 핀토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을때는 로케일 값을 그냥 그대로 두고 진행하기를 바란다.
'설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 mac os에서 호스트 설정 통해서 웹사이트 허용 조절할때. (0) | 2023.11.09 |
---|---|
vscode 사용시 프로젝트에서 c++ 버전 설정 방법. (0) | 2023.10.26 |
mac os에서 vscode 를 이용해서 c++ 코드를 디버깅 하기 위한 설정 참고 블로그. (0) | 2023.10.25 |
CapsLock으로 한영 변환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그때 사용한 설정 방법. (0) | 2023.08.25 |
c++을 위한 vscode 세팅 방법에 대해서 잘 설명되어 있는 블로그 글 && code runner에서 c++ 버전 설정 방법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