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31. 20:17, 알고리즘/BOJ
현재 바킹독님의 알고리즘 강의 유튜브 영상의 문자열 기초 부분을 보고있는데,
그동안 생각없이 써오던
s = s+'a';
s += 'a';
형태에 대해서 위와같은 차이를 제시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gpt 검색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
https://astrid-dm.tistory.com/298
C++로 알고리즘을 풀때 주의사항
S+='A'와 S=S+'A'의 차이 결론적으로 S+='A'를 사용해야 더 빠르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string s; int n = 1000000; for (int i=0; i
astrid-dm.tistory.com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다가 아무래도 이분도 비슷한 알고리즘 영상을 보고 글을 작성하신게 아닐까 싶으신 분을 발견했는데,
마지막에
라는 내용을 첨부하셨길래 내 블로그 글에 같이 첨부해본다.
이게 언어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것을 생각해보지 못했다.
혹시 내가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할때, 이런식으로 언어별로 다를 수 있는것에 대해서 염두하면서 코드를 작성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6198 옥상 정원 꾸미기 || 이 문제를 통해서, 예제가 제시해주는 형태로 답을 낼 필요가 없다는 것에 대해서 배움. (0) | 2023.08.31 |
---|---|
경우의 수들을 진법으로 표현하는 방법에서 역방향으로 출력되는 경우에 대한 이해. (0) | 2023.08.22 |
boj 17835번 문제를 통해서 연산과정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본 개선점과 주의사항들. (작성중) (0) | 2023.07.29 |
boj 1238 번 문제를 통해 보는 다익스트라와 왕복 거리. (0) | 2023.07.26 |
플로이드, 다익스트라, 벨만포드의 사용가능 상황 비교. (간략함) (0) | 2023.07.23 |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