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333)
- boj 1238 번 문제를 통해 보는 다익스트라와 왕복 거리.2023.07.26
- 플로이드, 다익스트라, 벨만포드의 사용가능 상황 비교. (간략함)2023.07.23
- boj 17182번 문제를 통해 다시 접하게된 next_permutation(); 에 대하여.2023.07.18
- boj 11404번 문제를 풀며 접하게 된 fill 함수에 대하여.2023.07.16
- 플로이드 알고리즘을 활용한 풀이에서 거리를 무한대의 의미로 놓기 위해 사용하는 0x3f3f3f3f와 0x7fffffff에 대하여.2023.07.16
- boj 16486번 문제를 통해서 보는 c++에서의 소수점 몇번째 자리 자리수와 fixed와 precision();2023.07.14
- boj 2250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구조화된 바인딩(structed binding)과 &을 이용한 참조.2023.07.07
- boj 20955번 문제에 대한 풀이중, dfs와 사이클 감지를 이용하는 코드 작성하기.2023.07.05
- boj 4803번 문제에서 메모리 초과에 관하여. 그리고 내 맥북에서 segmentation falut2023.07.04
- 식에 개체 포인터 형식이 있어야 하는데 "int" 형식이 있음. 이라는 오류에 관하여.2023.07.03
- c++ 함수를 만들때 배열을 인자로 받을때 &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2023.07.02
- boj 1707번 문제를 풀다가 접하게 된 vector의 clear() 함수에 대하여.2023.07.02
- boj 1325번 문제를 통해 바라보는, 노드에 붙어있는 노드들의 총 갯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정방향 dfs와 역방향 dfs 풀이법 차이.2023.07.01
- boj 1389번 코드를 작성해보며 만나게된 zsh: bus error 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내 '그래프 문제' 해결 코드에서의 문제점 보완 방안.2023.06.30
- boj 2075번 문제를 통해 다시 접하게된 if(n<(int)pq.size()) 형태에서의 (int)의 역할.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