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시뮬레이터 상에서 작성해놓은 입력 방식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하던중에, 처음보는 메뉴가 simulator 인게임 상에서 등장해서 해당 현상을 여러번 다양한 입력으로 재현해보고, 그와 같은 입력이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내용인지 알아내려고 하였으나, 그와 관련된 일관적인 입력을 파악하기 어려웠고, 구글에서 simulator display stats 라고 검색하면 지속적으로 control panel 에 대한 정보만 나와서 이에 대한 내용을 유니티 포럼에 올려보았다.
포럼에 작성한 질문글과 그에 대한 답변 받은 내용
글을 작성하고 5분만에 누군가가 해당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주어서 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내용을 기반으로 검색해보니, 이 기능은 SRP status 라는 기능이었고,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첨부 링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위의 유니티의 프로덕트 보드를 통해서
이와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여기서 제시하는 더 많은 정보를 위한 doc 링크들 들어가보면,
여기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에 rendering debugger 를 키는 방법에 대해서 나온 부분을 보면,
이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아무래도 버그가 아닌이상, 내가 입력한 상황에서 그나마 Rendering Debugger 를 킬 수 있게 되는 입력은
" On a mobile device, use a three-finger double tap." 이 부분이 아닐까 싶다.
시뮬레이터도 결국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인식되는 상황이니까, 이때에 클릭 입력을 스패밍처럼 지속적으로 누르는것이 세손가락 더블탭으로 인식되는 방법밖에 내가 구성해놓은 Input system 상에서 가능한 방법이지 않을까 싶다.
추가적으로 버그성으로 작동하는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가장 처음에 올린 유니티 포럼에 추가질문으로 올리긴 했는데,
아직 그에 대한 답은 얻지 못하였다.
그래도 인게임 상에서 해당 rendering debugger 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온오프 단축키를 알아낼 수 있었으니 다음에도 이와 같은 기능이 동작하면 이유를 잘 인지하고, 필요한 경우에 잘 활용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