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BOJ (185)
- boj 1389번 코드를 작성해보며 만나게된 zsh: bus error 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내 '그래프 문제' 해결 코드에서의 문제점 보완 방안.2023.06.30
- boj 2075번 문제를 통해 다시 접하게된 if(n<(int)pq.size()) 형태에서의 (int)의 역할.2023.06.27
- boj 11286 절댓값 힙 문제를 통해서 다시 접하게된 compare 함수 형태와 작성 요령에 관하여.2023.06.27
- if문과 else if와 else를 사용하는것이 if if if 형태로 작성하는 형태와의 차이점.2023.06.27
- boj 11286 , 11279, 1927번 문제를 통해 보는, priority_queue와 최대 힙, 최소 힙. **gpt를 너무 맹신하지 않도록 주의하자**2023.06.26
- boj 23326번 문제를 통해 보는 switch 문에서 맨 마지막 case의 break의 생략.2023.06.26
- boj 23326 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원형 배열에서의 인덱스 표시에 관하여. curr=(curr+tmp-1)% N +1; 형태의 코드에 대해2023.06.26
- c++ map 에서 iterator를 사용할때 볼 수 있는 '->' (arrow operator)에 관하여.2023.06.25
- boj 7662번 문제를 통해 주의해야 하는 부분에 대한 배움.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가 있는 문제는 컨테이너 선언 위치를 주의할것.2023.06.23
- boj 19583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 된 cin.eof()과 이것의 활용 방법.2023.06.22
- boj 11478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 된 substr() 함수와 그 함수의 활용에 관하여.2023.06.22
- boj 16165번 문제를 통해 배우게된 unordered_map을 마치 중복을 허용하는 듯하게 사용하는 방법.2023.06.21
- boj 13414번 문제를 통해 익히는 unordered_map의 find() 함수와, min() 함수에 사용하는 (int) size() 함수에 대하여.2023.06.20
- boj 7785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unordered_set과 sort에 관하여.2023.06.20
- boj 22862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짝수일때, 홀수일때 수를 경우의 수를 더하는 방법에 대하여.2023.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