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BOJ (185)
- 2^31-1을 표현하는 16진수 표현법.2023.06.08
- 중복 원소 제거를 위한 sort(), unique(), earse() 함수의 활용.2023.06.07
- c++ binary_search , lower_idx, upper_idx 코드 구현 모음과 차이점 비교.2023.06.07
- 이분탐색, 이진탐색, 그리고 이진검색 트리2023.06.07
- boj 1292번 문제의 코드를 통해 접하게된 ,을 통한 한줄 표현 방법에 대하여.2023.06.07
- boj 1011번 문제를 통해 접하게된 sqrt() 함수에 대하여.2023.06.06
- boj 5347번 문제 LCM을 통해 배우게 되는 계산 중간 과정에서의 int overflow의 가능성. 그리고 해결법 세가지.2023.06.05
- boj 2312번 문제를 통해서 한참 잘못빠져들었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의 구현 .2023.06.05
- boj 1456번 문제를 통해 보는 i<=b/p( i*p<=b 대신) 과 i>=a/p(i*p>=a 대신) 의 차이점.2023.06.04
- boj 10610번 문제를 통해 정말 오랜만에 접해보는 3의 배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판단법에 관하여.2023.06.03
- boj 2869번 문제를 통해 알게된 코드에서의 ( )을 통한 우선순위 두기.2023.06.03
- boj 9613번 문제를 통해 배우는 type 설정의 중요성.2023.06.03
-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한 유클리디안 알고리즘에 대하여.2023.05.31
- boj 7570번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는 블로그글 첨부.2023.05.31
- boj 8980먼 문제를 통해 접한 if(!b)형태의 코드에 관하여.202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