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333)
- max_element()의 반환값과, max()의 반환값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도록 하자.2023.05.15
- c++ 알고리즘을 풀때 찾은 줄 번호로 바로 이동하는 단축키. 매우 유용할듯.2023.05.14
- boj 10942 팰린드롬? 을 통해 검색해본 팰린드롬.2023.05.12
- boj 9251번 LCS// 이해가 가도록 도움을 줄 참고 자료가 있는 블로그들 모음.2023.05.09
- c++에서 10억을 표현하는 손쉬운 방법.2023.05.08
- c++ accumulate() 에 관하여.2023.05.07
- boj 9465// 이 문제의 풀이법에 대해서 잘 이해를 해야겠다.2023.05.06
- 시간복잡도의 표현에 관하여.2023.05.05
- c++ boj 1890번 문제를 통해서 알게된 간략하게 표현한 변수의 중요성.2023.05.04
- c++ boj 15988번 문제를 통해 보는, "1,000,000,009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등의 형태를 요구하는 문제에 대해서.2023.05.03
- stack과 같은 기능을 활용해야 하는데, 그 와중에 개별 원소에 접근해야 할때. 그럴땐 deque를 사용하자.2023.05.03
- dp 문제에서 pre[] 배열을 선언해서 뒤로 추적해 나갈때 deque의 활용2023.05.02
- c++ 2차원 배열에서 *max_element를 사용하는 방법2023.05.02
- 파이썬 코드를 볼때 알게된 c++과 파이썬의 복사의 깊이 차이.2023.05.01
- long long 타입으로 선언한 변수에 값을 할당할때 LL을 붙이도록 하자.202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