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2. 12. 03:15, Unity
위와 같은 내용을 보게 되었는데, 위의 내용을 작성한 사람은 Fluid Simulator를 개발한 사람이고, 해당 내용에 대해서 트위터에 별다른 얘기가 없이 주 내용이 위의 코드 캡쳐본만 있는 게시글을 보게 되었다.
Lerp를 이용한 개체의 이동에 대해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위의 코드를 한번 분석해보면서 어떠한 얘기에 대한것인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일단 Time.deltaTime 과 framerate dependet 에 초점을 맞추어서 생각해보면,
프레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 Lerp 움직임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Lerp를 감싸는 wrapper 함수를 만들어내서 그걸로 사용하는 형태이지 않을까 싶다.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코드 난독화 방법에 대해서 도움이 될만한 블로그 글 (0) | 2023.12.12 |
---|---|
C# 코드를 기반으로 빌드와 디컴파일링에 관하여 알아야 하는 개념들 정리. (0) | 2023.12.12 |
핸드폰으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는 Unity에서의 코드 (0) | 2023.12.10 |
일반적인 함수에 일회성으로 딜레이를 주고 싶으면 invoke() 함수를 사용할 것. (0) | 2023.12.10 |
Button 에서 Navigation 설정에서, None으로 했을시에 역할에 대하여. (0) | 2023.12.10 |
Comments, Trackbacks